1. 기획순서
구상 -> 서비스 기획 -> 화면설계 -> 디자인 -> 퍼블리싱 -> 프론트 개발 -> 백엔드 개발 -> QA -> 개발 보수 -> 출시
2. 서비스 기획
서비스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해결
-시장조사/분석: 매출규모, 관련 법률, 경쟁사 분석, 타겟 분석
-차별화도출
-수익구조 창출
-제안서작성(협업)
-컨셉정의
-정책 정의
2.1 서비스기획 단계
유사 서비스 조사 -> 특징, 장단점 파악 -> 시장현황조사 -> 차별성 도출 -> 서비스 컨셉 정의 -> 정책정의
3. 화면설계
서비스의 사용성을 고민하고 해결
-요구사항정의
-IA정의
-wBS정의
-기능정의
-데이터 정의
-플로우차트
3.1 화면설계 단계
요구사항정의 -> 메뉴구조 정의 -> IA , WBS정의 -> 화면 흐름 정의 -> UX/UI 설계 -> 데이터 규칙 정의
4. 기획서 종류
- 요구사항정의서 (soft requirements specification)
-IA (information architecture)
서비스 전체 구조 파악할 수 있는 화면설계서 기반 문서 (내부 일정 산출 기반)
-WBS (work breakdown structure)
프로젝트 개발 범위 및 상세 일정 산출 문서
-화면설계서 (story board)
플로우차트, 기능정의, 데이터 규칙 등 실제 개발을 위해 필요한 모든 내용이 담긴 개발 지침서
5. IT기획 종류들
스타트업 등 기업들 지원할 때 원하는 포지션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지원하면 좋을 것 같다!
사업기획- 회사의 전체적인 방향성에 대해 기획
서비스기획-회사가 운영하는 서비스의 콘셉트를 정의하고 정책을 정의하고 방향성을 잡는 구체화하는 역할
전략기획-회사의 수익 모델을 찾고 구체화 하는 역할. 전략기획파트가 없는 경우 서비스기획에서 이 부분까지 맡음.
화면설계(=ux ui 기획): 사용자가 보게 될 화면을 개발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설계
프론트 기획:사용자가 접하게 될 화면을 기획
백엔트 기획(=어드민 기획): 관리자가 접하게 될 화면을 기획
구축 기획: 아무것도 없는 상태, 즉 오픈한 적이 없는 아이디어 단계의 서비스를 기획
운영 기획: 이미 운영 중인 서비스에 추가 기능이라든가 지속적으로 운영에 필요한 기획 일을 하는 것.
6. 웹브라우저
-익스플로어 (ms) : 보안 취약, 엣지로 변경
-크롬(google) : 보안 강력, 전력 소모 큼
-파이어폭스(모질라 재단) : 보안강력, 리눅스
-사파리(애플) : 다른 곳이랑 연계 어려움
7. 소통하기
개발자
특징 : 정확한 언어 사용, 0 or 1
필요: 기본적인 개발 로직 공부
디자이너
특징: 감성적 접근, 공감과 이해
필요: sketch, adobeXD 프로그램 다뤄보기
일정관리
-하루에 한 번 이상 개발 현황 기록
-내 업무상태 실시간 기록
-문제와 해결에 대한 지속적인 기록
깊이있이, 꼼꼼하게, 정확하게
핵심적인 언어로, 기능 하나 하나 구체적 목적으로 설명,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이해
'IT plan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비스 지표 활성사용자(by johnny) (0) | 2021.11.04 |
---|---|
다양한 서비스 지표 (0) | 2021.11.04 |
기획자의 자세 (0) | 2021.11.04 |
yes24 서비스 분석 및 문제점과 개선사항 (0) | 2021.11.04 |
역기획 도전 2 (0) | 2021.11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