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시장 현황
월간 활성 사용자: 442만 명(포스타입의 트래픽은 국내 웹툰 플랫폼 중 3위를 차지하고 있음)
월간 수익 정산 작가 : 8천 명
월간 유료 독자: 27만 명(이용자 간의 자유로운 거래로 형성되는 포스타입 콘텐츠 시장에서 매월 최대 21억 원 규모의 거래가 발생)
누적거래액: 386억(2015년 출시 이후 매년 200% 이상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)
누적 가입자: 349만 명(2015년 출시 이후 누적 가입자 349만 명을 달성하며 국내 최대 독립 창작 콘텐츠 플랫폼)
콘텐츠 유료 소비자 비율: 30% (포스타입의 유료 이용 비율은 전연령층 평균 디지털 콘텐츠 유료 서비스 이용 비율 11.3%의 두 배 이상에 달함)
가입자 중 MZ세대 비율 : 85% (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높은 충성도와 구매력을 보이는 밀레니얼. Z새대(18~34세)가 사랑하는 플랫폼.
경쟁사: 네이버 웹툰, 카카오웹툰, 탑툰, 레진코믹스, 네이트 툰앤북, 봄툰, 리디북스 등
경쟁력: 작가와의 소통, 작가 당 다양한 콘텐츠 업로드 가능(사진, 에세이, 시 등), 후원 기능
2. 비즈니스 모델 분석
1.고객부문
작가,제공사
-독자와 소통하고 싶다.
-자신을 홍보하고 싶다.
-선호에 맞게 작품을 제작하고 싶다.
-독자들에 관한 정보를 얻고 싶다.
독자
-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보고 싶다
-선호에 맞는 작품을 보고 싶다.
-작가와 소통하고 싶다.
2. 고객가치
작가, 제공사
-독자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.
-후원을 받을 수 있다.
-콘텐츠 금액, 분량, 연재 주기 등 스스로 정할 수 있다.
- 작가의 작품 공간을 정교하게 편집할 수 있다.
-글, 그림,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담을 수 있다.
-발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.
-판매 수익과 독자들의 니즈, 참여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.
독자
-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다.
-선호에 맞는 작품을 선택할 수 있다,
-작가와 소통할 수 있다.
3. 고객관계
작가, 제공사
-정기 구독형 멤버십 운영, 콘텐츠 판매와 후원
-포스타입 페이스 메이커-(단독으로 공개된 작품과 작가에 대해 완결 축하금 지급, 오프라인 행사 후원, 작품 홍보 등 지원)
-포스타입 큐레이션(포스타입 이용자의 추천과 에디터의 큐레이션을 통해 엄선한 작품은 메인, 컬렉션 등에 실림)
도움센터
독자
-도움센터
4. 채널
-pc웹
-앱
5. 핵심활동
-웹,모바일 서비스 운영/관리/개선
-카테고리별 작품 등록/관리
-간편,다양한 결제 서비스 등록/관리/개선
6. 핵심자원
-웹,모바일 기술/지원
-다양한 작품 자원
-간편한 결제 기술
7. 핵심파트너
-작가, 제공사
-독자
-청강문화산업대학교, 상명대학교,한국예술종합학교
-STUDYPIE
-LOTTE CARD
-러브프로듀서
-STORY TACO
8. 비용구조
고정비용
-온라인 인프라 유지/고도화
-고객센터 운영 인력/자원
-사무실/법무/세무/처리
-포스타입 페이스 메이커
변동비용
-이벤트/마케팅 진행 비용
-카드수수료
9. 수익구조
-작품 판매 중개 수수료
3. 문제점
비즈니스 모델 분석 결과, 고객관계에서 작가, 제공사 부문에 대한 지원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, 독자와의 관계가 약하다는 것을 파악. 회사의 목표가 창작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창작 자 위주의 콘텐츠 방식을 택했더라도 이와 모순되지 않게 독자와의 관계를 좀 더 보완해주면 재방문율과 구 매율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 판단.
경쟁사 벤치마킹-고객관계위주
-네이버 웹툰 : 댓글 기능, 다양한 제휴를 통한 무료 쿠키 제공, 참여를 통한 쿠키 제공 -카카오 웹툰: 댓글기능, 무료로 제한된 작품 제한된 횟수와 기간으로 선물 제공, 출석하면 캐시 제공
-탑툰 : 기다리면 무료/할인, 출석체크 시 코인 제공, 사용한 누적 코인 수에 따라 지원금 제공(보너스 코 인 10% 환급), 숨겨진 카드나 페이 포인트로 보는 방법, 채널 추가하고 무료 코인, 무료 쿠폰 등록하고 대 세 인기작 마음껏 보기, TV포인트로 무료충전
-레진코믹스: 기다리면 무료, 할인된 작품, 기념일 이벤트, 무료로 제한된 작품 제한된 횟수와 기간으로 선물 제공. 출석체크 이벤트, 신작 미리보고 보너스 코인, 페이, 제휴 포인트로 무료 코인 충전, 자동 충전 시 할인, 신규 다운로드시 보너스 코인, 항상 10% 코인 할인, 앱 사용시 20% 할인
-네이트 툰앤북: 댓글 기능, 단행본 정주행 시 포인트 지원, 전체 대여 시 10% 포인트백, 시간 지나면 무 료, 특정화 무료 -봄툰: 신규회원 선착순 50% 할인, 항상 할인 상품, 시간 지나면 무료,플러스 친구 추가 시 할인 쿠폰, 봄 툰 댓글 이모티콘, 출석체크, 인터뷰 공개, 카드,페이 포인트로 무료 충전, 플러스앱 사용 시 더블 할인, 자 동 충전 시 할인 및 참여 이벤트 확률 올림. (웹툰을 기준으로 분석했지만 다른 분야 등도 참고 가능)
4. 개선사항
회사의 목표인 창작자 위주로 구성한다는 원칙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독자와의 관계를 통해 재방문율과 구 매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을 마련. 현재 창작자에게 판매를 하든지 후원(무료)을 선택 하든지 자유롭게 기회를 부여하고 있음. 기다리면 무료 할인이나 할인 같은 부분은 창작가가 원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은 건드리지 않더라도 출석체 크 이벤트와 제휴를 통한 이벤트들은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. 정기적으로 결제를 하는 고객들에게도 10% 더 준다 든지 등으로 고객관계를 돈독하게 만들면 좋을 것 같음. 이벤트 내용을 정리해서 웹과 앱에 이벤트 탭을 만들어서 기획을 해보면 좋을 것 같음.
'Business > practice of model analys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ZARA 비즈니스 모델 분석(REF, 성공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) (0) | 2021.11.16 |
---|---|
트리플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장점과 제안 (0) | 2021.11.05 |
리브햇 (어딩)시장 분석,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제안 (0) | 2021.11.05 |
두둠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문제점과 개선사항 (0) | 2021.11.04 |
넥스트유니콘(하프스)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(0) | 2021.11.04 |